[책] 뇌, 생각의 출현 - 박문호
뇌생각의출현대칭,대칭의붕괴에서의식까지 카테고리 인문 > 인문학일반 > 인문교양 지은이 박문호 (휴머니스트, 2008년) 상세보기 인간의 의식의 실체는 과연 무엇인가? 인간의 기억의 실제는 또 무엇인가? 인공지능에 꽤 많은 관심을 가졌던 나에게 이 문제들은 잊을만 하면 다시 떠오르곤 한다. 우주의 비대칭성, 세포의 출현, 세포의 운동... 그리고 그 운동이 내면화 되면서 발생된 '의식'. 뇌 구조의 진화, 뇌 각 부위의 역할과 상호 작용 등... 뇌와 신경세포의 생물학적인 사실들을 모아 '의식'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시도한 책이다. 그런데 너무 정리되지 않았다는 느낌이다. 뇌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데, 어쩔 수 없는 것이였다고 이해할 수는 있겠지만, 뇌의 각 부위를 지칭하는, 발음하기도 힘든 생물학적, 의학..
2010. 10. 30.
만물은 원자 - 원자로 구성된 나
핵전쟁이나 소행성 충돌 등에 의해 인류가 멸망할 위기에 처했다고 상상해 보자. 인류는 혹시라도 살아남을 우리 후손을 위해 가장 중요한 과학 사실 하나를 특수 합금에 새겨 지구 곳곳에 남기기로 했다. 과연 거기에는 어떤 내용을 새겨 넣어야 할까? “세상 만물은 원자로 되어 있다.” 20세기의 위대한 물리학자 파인만의 답이다. 그런데 좀 이상하다. 누군가는 이렇게 반문할지도 모른다. "겨우 원자라고? 웬만한 초등학생도 아는 시시한 내용이 뭐가 그렇게 대단해?" 하지만 과연 우리는 세상이 원자로 되어 있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정말 잘 알고 있는 것일까? 세상에는 참 많은 것들이 있다. 사람이나 강아지, 풀, 나무, 혹은 아메바나 독감 바이러스, 바위, 쇠, 물, 공기, 달, 태양, 그리고 우주 저 멀리 있는..
2010. 10. 30.